hobby 2022. 9. 1. 16:03
728x90
반응형

터치패드 키보드가 알리에서 저렴해서 구매해서 정말 편리하게 잘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사용중에 1년만에 키보드가 에러가 나고 결국은 키보드가 고장이 났습니다.

키보드에 한글자판까지 붙여가면서 사용중이었는데 결국은 이 키보드도 저렴한 가격에 그 값을 증명해줍니다. 이전에 트랙볼 키보드는 그래도 3년은 잘 사용했었는데 터치패드 키보드는 결국 1년만에 그 값만큼만 사용을 했습니다. 

 

처음 구매때 12000원에 구매를 했습니다. 그리고 한글 자판 스티커 1500원 그래서 14000원 정도 되는 가격인데 결국은 터치패드만 살아있습니다. 키보드가 처음부터 약간 어설프게 생겼다고 생각을 했는데 결국은 키보드가 말썽을 일으킵니다. 

그래서 이 키보드를 분리를 해보려고 구조를 살펴보니 정말 단순합니다. 기본 틀에 키보드를 그냥 선을 연결해서 끼우고 양면테이프로 그냥 붙여 놓았습니다. 이러다 보니 기존 키보드에 연결된 얇은 선중에 한선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그 쪽 키보드들이 전부 인식이 되지를 않는 것 같습니다. 

아니면 뽑기가 잘못된 것인지..... 아무튼 어느 순간부터 그냥 한쪽줄의 키보드들이 먹지 않아서 제대로 사용하지도 못하고 결국은 새로운 무선 터치패드 키보드를 주문을 했습니다. 이번에는 두배가격의 키보드로 선택을 했습니다. 

 

지금의 이키보드는 배터리가 AAA 배터리가 두개 사용이 되지만 새롭게 주문한 키보드는 충전용 배터리가 들어있어서 좀더 편리하고 나중에 배터리가 교체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서 충전이 되는 키보드로 주문을 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사용중인 이 키보드는 뜯어서 키보드만 분리를 해보니 터치패드는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터치패드만 살려보려고 합니다. 리튬 배터리를 연결해서 사용하면 그냥 터치 패드만 사용할때에는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다음편에서 터치패드만 살려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2. 8. 22. 16:26
728x90
반응형

오래된 하드 디스크가 있어서 그동안 버릴까 말까 고민을 하다가 유튜브를 통해서 모터를 재활용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여러 방법으로 활용을 하고자 Diy를 했습니다.

우선은 하드디스크를 전부 분해를 해야 하는데 생각보다는 어렵지는 않습니다. 나사 전부 풀어주고 틈을 벌려서 덮개를 벗겨내면 됩니다.

모터만 분리해서 사용해도 되고 아니면 이상태에서 사포를 붙여서 그라인더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회전력을 이용한 선풍기를 만드는 경우도 있고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해 볼수 있지 않나 합니다. 회전 속도가 상당히 빠릅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모터가 조용해서 좋습니다.

 

우선 모터를 구동하려면 콘트롤러 보드가 필요합니다. 국내에서는 비싸지만 알리를 통해서 그나마 저렴하게 구매가 가능합니다. 

처음에는 뭣도 모르고 그냥 저렴한 모터 속도조절 콘트롤러 구매했다가 낭패를 보았습니다. 꼭 모양이 이런 모양으로 구매를 해야 하는것 같습니다. 다른 것도 이것 비슷한 저렴한 것이 있는데 그건 아마도 5v용 팬 모터 속도조절용을 파는 것 같습니다. 

보통은 하드 디스크 모터에서 4선이 나옵니다. 그래서 4가지 선을 색을 다르게 해서 연결하면 되는데 모터가 여러개가 있다보니 그냥 연결하기 쉽게 jst소켓을 사용하려고 빨 검 빨검으로 선에만 표시를 해서 사용했습니다. 

연결 순서는 사진에서 처럼 표시된 1 2 3 4를 com w v u 이렇게 순서대로 연결을 해주면 됩니다. 가지고 있는 모터는 이렇게 연결 했을때 정상적으로 작동을 했습니다. 

 

전원은 아답터에 12v 어답터에 연결을 했습니다. 여러가지로 활용을 하기에 모터가 너무나도 좋습니다. 오래된 하드 디스크가 몇개 있었는데 그냥 버린게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는 ssd가 대세가 되다보니 점점 하드 디스크도 보기가 힘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아직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면 한번쯤 만들어서 사용해보면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2. 7. 15. 16:00
728x90
반응형

가끔은 집에서 머리카락을 다듬어야 할때가 있습니다. 그럴때 사용하려고 여러 미용가위들을 사용을 해봤습니다. 국내에서 15000원대에서 2만원대 가위를 구매를 해서 사용을 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그렇게 오랫동안 사용하기에는 왠지 불편하고 가위에 녹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실제로 미용이나 이용가위는 엄청나게 비싸다고 합니다. 그렇게 가정에서 잠깐 잠깐 사용하면서 몇 십만원짜리  비싼 가위를 사서 사용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느끼지만 가끔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위가 잘들어야 머리카락을 다듬기가 편리합니다. 가위의 상태가 조금만 나빠져도 잘안들면서 머리카락이 찝히거나 안잘리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러면 괜히 기분도 안좋은 경우가 있어서 자꾸 가위가 얼마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안들게 되면 바꾸어야 하나 생각이 들게 만듭니다.

 

다음으로 가위의 크기도 사이즈도 5인치 7인치가 있는데 혼자 사용하기에는 5인치보다는 7인치가 사용하기에는 훨씬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몇년간은 국내에서 여러가지 가위를 구매해서 사용하다가 생각보다 가위가 좋지 않아서 혹시나 하면서  알리에서도 미용가위를 알아보니 미용가위의 가격대가 차이가 많이 나지만 그 가운데서 1만원대 가위를 알아보던중에 440c 가위가 그나마 괜찮아 보여서 구매를 해서 1년을 사용을 해 보면서 정말 가성비가 좋다고 느낍니다.

 

머리카락이 잘려나가는 느낌이 좋습니다. 그동안 사용했던 가위중에 좋습니다. 7인치 가위이며 크기는 19.5cm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머리숱 치는 가위도 주문을 해서 받았습니다. 그동안은 국내용 15000원대에 구매를 해서 사용하던 숱가위가 사용하면서도 매번 불편하고 머리카락을 자꾸 찝는 그런 느낌이 들어서 얼마 사용하다 사용하지 않고 그냥 두고 결국은 다시 440c 이 제품을 구매를 했습니다.

이것도 7인치입니다. 그런데 머리카락을 다듬어 보니 정말 그 느낌이 좋습니다. 그래서 미용하시는 분들이 비싼 가위를 사용하는 이유가 있나 봅니다. 잠깐 잠깐 다듬을 때 사용하는 경우인데도 이렇게 느낌이 다른데 자주 가위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한동안은 잘 사용할 것 같습니다. 다음번 여유분 가위는 알리에서 이벤트나 광군제 때를 이용해서 할인 될때 구매를 하면 좋겠다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면 6달러 내외에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2. 7. 14. 15:24
728x90
반응형

가끔 유튜브에 보면 저게 가능할까 하는 내용들이 나옵니다. 물론 그냥 볼때도 말도 안되는 것도 있지만 가끔은 저렇게 하면 될것 같다는 것도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 생각하지도 못했던 방법을 알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가운데서 유튜브 상에서는 가능할 것처럼 보였던 것이 usb hub diy입니다. 내용이 거의 없는 가운데 한사람이 성공하는 영상을 올려서 아 가능하구나 생각을 해서 가지고 있던 부품들이 있어서 가능한지 해보기로 했습니다.

유튜브에서는 usb에 전원선 데이터선 연결만 해서 선을 연결후  사용하면서 성공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저게 될까 싶어서 usb 배선 연결 방법을 알아보고서 예전에 가지고 있던 usb 충전 젠더를 가지고 똑같이 해보기로 합니다.

우선 배선은 +는 빨간선 그다음은 데이터선 흰색선 녹색선 - 검정색선을 연결해주면 됩니다. 가지고 있는 모듈은 기본 usb전원을 좀더 안정적으로 보강해주는 모듈이라서 데이터 선만 직접 연결해 주고 전원쪽은 원래 연결하는 + -쪽으로 연결을 해주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두개를 같은 방법으로 직접 연결을 해주고 usb선을 한쪽으로 연결을 해서 되는지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결과는 어떨까요? 

NO......................................NO 

안된다입니다. 한개만 연결했을때는 인식을 합니다. 하지만 두개를 연결해서 usb에 연결을 하니 둘다 인식 불가 상태가 됩니다. 한쪽만 꽂으면 인식을 합니다.  역시나 생각했던대로 뭔가 중간에 데이터를 분리해주는 무엇인가 있어야 할것 같다는 생각이 그대로 맞았습니다. 

 

그래서 열심히 알아보니 역시나 데이타를 중간에 처리해서 나눠주는 칩이 있어야 되는 것입니다. 그것도 모르고 그냥 쉽게 생각했습니다. 아무래도 유튜브에는 페이크가 있는것 같습니다. 역쉬 많은 사람이 올리지 않는데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이 usb 4포트 칩이 알리에서 2천원정도 하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usb 허브 스위치 달린 완제품이 2600원합니다. 이런걸 보니 그냥 고생하지 말고 완제품 사서 사용하는것이 편하다는것을 다시금 느끼게 됩니다.  

 

역쉬 유튜브에 있는 것을 그대로 믿고 따라하기에는 잘 알아보고 해야 한는 것 같습니다. 특히 외국에서 찍은 유튜브는 더욱더 신중하게 보고 선택을 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괜히 생각없이 부품을 주문했으면 부품만 낭비할 뻔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2. 6. 14. 16:07
728x90
반응형

오래되어서 잘 사용하지 않던 스마트폰을 찾았습니다. 그래서 전원을 연결을 해보았더니 배터리가 이미 방전에 충전을 해도 얼마 가지 않아서 배터리가 소모되어 버립니다. 그렇다고 새로 배터리를 구매하기도 그렇고 고민을 하면서 사용용도를 생각하다가 차에서 obd를 연결해서 차의 상태를 체크하는 용도로 사용을 해보려고 차량용으로 개조를 하려고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usb연결선 dc다운 컨버터 그리고 배터리에서 보호회로를 분리를 해 놔야 합니다. 그냥 직결로 연결해도 된다는 경우도 있지만 그래도 좀더 안전하게 연결을 해서 사용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1차로 다운 컨버터 모듈을 구매를 했는데 실패를 했습니다. 

보통 많이들 사용하시는 모듈인데 저렴하고 스펙상으로는 괜찮은것 같아서 구매를 해서 사용을 해봤는데 어떤 경우는 켜지고 어떤 경우에는 켜지지 않았습니다. 그냥 일반 저전력의 dc 전원 연결에만 사용을 해야 정상 작동을 했습니다. 그래서 1차는 실패를 했습니다. 

 

그래서 이것보다 좀더 용량이 큰 모듈로 구매를 했습니다.  XL4005모듈입니다.

위쪽의 1차 구매한 모듈과 큰 차이는 없는데 가운데 코일로된 부분만 다릅니다. 좀더 비용을 지불하면 방열판도 조그만게 붙어서 오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혹시 몰라서 그냥 좀더 저렴한 제품으로 구매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미 오래 되어버린 사용하기 애매한 스마트폰을 연결을 위해서 준비를 해줍니다. 

기존의 배터리에서 위쪽의 보호회로만 분리를 해주고 jst연결 커넥터로 납땜을 해줍니다. 그리고 다운 모듈에도 납땜을 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필히 전압을 3.8v에서4.2v 사이로 맞춰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켜지지 않거나 스마트폰이 과열이 될수도 있다고 합니다. 지금은 4v로 맞춰주고 usb 5v 아답터에 연결해서 전원을 켜니 이렇게 켜집니다. 그동안 이걸 모르고 다른 문제가 아닌가 해서 아답터와 차에서도 계속 usb짹만 체크를 하고 있었습니다. 

 

필히 스마트폰을 자동차에 배터리 없이 사용하려고 한다면 좀더 안정적인 전압이 공급되는 모듈을 선택하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패드도 마찬가지이고 아이폰도 마찬가지 인것 같습니다. 

 

실제로 여러 폰들을 사용해 볼 결과로는 차에서 사용하기에는 엘지 스마트폰이나 아이폰을 사용하는게 제일 좋은것 같습니다. 간단한 개조만으로도 켜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것 같습니다. 삼성 스마트폰은 따로 전원 스위치를 눌러 줘야 켜지고 그렇지 않고 전원연결만으로 켜지게 하려면 루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냥 편리하게 사용하려면 엘지 폰이나 아이폰처럼 간단히 전원이 연결이 되면 켜지는 폰이 좋은것 같습니다. 간단히 개조도 가능한것 같고 릴레이 연결하면 된다고 합니다. 아직까지 릴레이까지는 사용해 보지 않았지만 방법을 찾는다면 후기로 올려보겠습니다.

 

오래된 갤럭시s4로 obd 연결후 사용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전원은 필요할때마다 눌러서 켜줘야 하는 불편은 감수해야 합니다. (루팅까지 하기는 그렇네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2. 6. 7. 15:43
728x90
반응형

10년 가까이 사용을 하면서 기계에는 만족하고 사용하는데 그동안 부속품이나 청소 방법을 제대로 몰라서 관리를 나름 한다고 한것이 그동안 잘못된 관리만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기계 내부로 물이 새고 흐르고 소리도 심하고 결국은 브로윙 유닛을 교체하려고까지 생각을 했었습니다.

커피 추출기 내부를 아무리 자주 청소를 하고 커피찌꺼기로 인해서 브로윙이 뻑뻑해서 나름 최대한 커피 찌꺼기를 제거한다고 했으나 잘 닦이지 않아서 결국은 브로위 유닛이 소리만 요란하게 나기 시작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알게된 브로윙 커피추출기에 실리콘링 고무링을 알리에서 이렇게 저렇게 해서 사이즈를 맞춰서 구매를 하고 그리고 장착을 해서 사용을 하면서 전혀 물새는 것도 사라지고 너무나도 좋습니다.

원래는 고무링이 큰거 하나하고 작은거 하나 들어갑니다. 그런데 커피 추출기 아래쪽에도 물이 이동하는 곳이 있는데 그곳에서도 나중에는 물이 흘러서 결국은 그쪽에도 고무링 하나 끼워주느라고 3개가 되었습니다. 

고무링 사이즈는 맨 위쪽으로 빨간색 고무링이 들어갑니다. 사이즈는 40mm에 두께가 4mm입니다.

그리고 위쪽에 작은 고무링이 하나더 있습니다. 그 고무링이 물이 자주 새는 곳입니다. 그래서 기존의 사이즈보다 조금더 큰 사이즈를 구매를 했습니다. 10mm에 2mm두께가 되는 흰색 고무링을 구매해서 사용했는데 너무나도 딱 맞습니다.

기존의 사이즈는 이보다 작아서 경화되어서 작아지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그냥 물이 꺼피 찌거기 받는쪽으로 그리고 바닥으로 흐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필히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 줘야 하는 고무링입니다.

그리고 끝으로 아래쪽에 기존에는 고무링이 없지만 끼워서 사용하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12mm에 두께는 3mm입니다. 

이렇게 전부 고무링을 교체해 주고 나니 커피 추출도 잘되고 물도 새는 것도 없어졌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아이젠소 9700에는 필수적으로 식용 구리스를 도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걸 몰라서 그동안 소리도 심하게 되고 문제가 생겨서 교체할 생각을 했습니다. 

그동안은 구리스를 쇠나 자동차 기계에만 사용하지 커피머신 내부에도 바를줄은 몰랐습니다. 그래서 필수적으로 커피를 마시는 용이라서 꼭 식용 구리스를 발라줘야 합니다. 

 

브로윙 커피추출기 관절마다 그리고 내부에 움직임이 닿는 곳마다 모두 도포를 해주었습니다. 그랬더니 아주 부드러워졌습니다. 그리고 한번 도포하고 일주일 정도 사용하고 물로 씻어내도 구리스가 남아 있어서 발라주지 않아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한달에 한번씩 전체적인 점검하면서 발라주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젠소 9700에 필수적으로 커피 머신의 분쇄 되어서 커피가루가 나오는 곳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서 안쪽에 찌꺼기가 굳어서 남아 있는지 보고 털어내 주어야 중간에 커피가 추출되기 전에 커피가루의 양이 많아서 추출도 못하고 커피를 토해내는 일이 없는것 같습니다. 한동안 그것 때문에 커피도 못 뽑고 원인을 찾느라고 고생좀 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제는 몇잔을 추출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당분간은 잘 사용을 할것 같은데 아무래도 사용을 10년을 하다보니 걱정이 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잘 아껴가면서 사용해 보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2. 5. 27. 16:43
728x90
반응형

리튬 배터리나 18650배터리로 노트북용 외부 충전용을 사용하려고 dc다운 모듈을 알아보면서 출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모듈에 18650배터리 직렬로 3개나 4개를 연결해서 12V사용하려고  모듈을 연결해서 한번 사용을 하고 출력이 안 받쳐주는 모듈을 사용했다가 그날로 모듈이 죽어버렸습니다.

또 한번 사용중인데 열이 엄청나서 얼마 연결하지도 못하고 그냥 바로 못쓰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이 모듈은 저렴해서인지 간단한 3v 다운용으로 사용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모듈로 스마트폰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서 배터리 빼내고 연결을 했는데도 usb 연결시 되는 경우와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아무래도 기존의 설명에서 3A지원이 된다는 것이 잘못된게 아닌가 싶을 정도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좀더 출력이 높고 방열판도 붙여 있는 모듈로 다시 해보려고 주문을 해서 받게 되었습니다.

8A 지원이 된다고 하는데 그렇게까지는 바라지 않고 그냥 적정하게 출력이 되면서 외부에서 급하게 노트북 전원 공급만 사용할수 있으면 됩니다. 18650배터리는 따로 충전을 해서 사용하면 병렬로든 직렬로든 사용이 가능해서 좋습니다. 직렬로 사용할때는 납땜이나 스폿용접을 해도 되지만 그렇게 되면 따로 bms를 연결해서 충전을 해줘야 해서 그냥 소켓을 따로 구매를 해서 필요할때면 사용하고 충전은 그냥 일반 4.2v에 맞춰서 충전을 해주고 있습니다.

이 소켓을 사용하면 병렬로든 직렬용으로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연결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필요한 부분에 맞게 스폿이든 납땜이든 해주면 됩니다. 실제 사용해 보니 소켓 2개 연결햇 앞뒤로 붙여서 16.8v를 다운 모듈로 12V에 맞춰서 충전을 하니 충전도 잘 되고 모듈에도 크게 열이 발생하거나 그런 문제없이 노트북 충전이 됩니다. 

 

dc스텝 다운 모듈 XL-4016이 4천원 정도면 국내에서 배송비 값인데 그 가격으로 안정적인 노트북 충전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좀더 좋게 400W 16A용으로 구매를 했다면 좀더 방열판도 크고 좋아서 아예 충전용 박스로 만들면 편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혹시 이번에도 모듈을 잘못 구매한 것이면 다시 구매를 해야 할것 같아서 실험 삼아서 구매한 제품인데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게 괜찮습니다. 노트북용으로 c젠더 출력으로 긴급하게 충전해 주는 용도로는 이정도면 만족합니다.  그리고 사용되어지는 출력이 표시가 됩니다. 그래서 실제 사용하는데도 괜찮습니다. 그것에 맞춰서 조정을 해주면 됩니다. 

 

알리에서 설명되어 있는 출력 보고 잘못 구매를 해서 이중으로 비용이 사용되기는 했지만 그러면서 배우게 됩니다. 용량 설명을 다 믿지 말고 50% 출력을 생각하고 구매를 해야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2. 5. 19. 16:55
728x90
반응형

정말 오래되어버린 산요 작티입니다. 2009년도에는 정말 좋은 디지캠이었는데 이제는 창고에서 거의 꺼내 볼일이 없는 물건이 되어버렸습니다. 이제는 스마트 폰으로 그냥 동영상 촬영이 편리해졌습니다. 그래도 가끔은 꺼내서 확인해 보고 사용을 하는데 배터리가 점점 상태가 좋지 않아서 얼마 사용해 보지 못하고 꺼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최근에 이것 저것 diy하면서 알게된 지식으로 이 산요 캠도 사용하기 편리하게 대용량 배터리 사용하거나 usb로 사용하게 만들어 볼까 해서 개조를 하려고 합니다. 

 

지금도 배터리만 연결해서 사용하면 오랫동안 녹화가 가능할것 같습니다. 32g에 6시간 이상 녹화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배터리만 새로 구입하려고 보니 택배비 포함 2만원이나 됩니다. 그러다 보니 차라리 기존의 보조 배터리나 18650배터리 아니면 리튬 배터리를 외부로 연결해서 사용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그러려면 기존의 배터리 연결 부위를 납땜을 해야 하는데 그냥 어짜피 오래되어버린 제품이라서 과감하게 납땜을 합니다.

전선을 + -를 잘 구분해서 납땜을 해주고 나머지 끝부분에서는 jst연결잭을 납땜을 해주면 됩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리튬배터리나 18650배터리에 전부 jst연결잭 암수로 연결을 해놔서 이렇게 사용하면 편리하게 연결 분리 충전이 가능해서 이렇게 사용중입니다. 

외부로 선을 빼서 연결을 해주니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면 그럭저럭 생각날때 마다 사용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때문에 걱정할 필요도 없고 그냥 필요할때 보조 배터리를 연결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물론 5v가 아니라서 usb 연결시에는 dc 다운 컨버터 사용하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냥 18650배터리나 리튬 배터리 3.7-4.2v를 연결해서 사용하면 정말 오랫동안 사용할수 있습니다. 

보조 배터리에서 3.7-4.2로 출력되는 부분만 연결해서 전원을 연결해 보니 잘 됩니다. 사용하는데 문제없이 녹화나 여러 용도로 사용해 볼 수 있고 배터리 걱정없이 아무때나 연결하면 될 것 같습니다. 자동차에서 usb연결해서 사용하거나 장시간 녹화용으로 사용하면 좋은것 같습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아무리 오랜시간이 지나도 가끔 꺼내서 확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