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 2023. 7. 25. 18:00
728x90
반응형

물을 사용하는데 깨끗한 물이 나오면 정말 좋겠지만 배관을 여러곳을 지나오면서 물은 오염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최종 사용하는 곳에서 그것을 가만해서 다시 정수를 해서 사용해야 그나마 안심이 되는 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여러가지 녹물 필터와 정수 필터를 사용하면서 사용하는 위치도 전부 제각각이고 모양도 다 제각각입니다. 

 

지금 샤워기에서 사용중인 녹물용 정수필터를 사용중인데 아무래도 샤워할때 물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큰 필터를 사용중인데 생각보다 커서 필터케이스에 오히려 물떄가 끼어서 항상 청소 아닌 청소를 해줘야 하는 불편이 생깁니다.

400

하지만 사용할 수록 점점 색깔이 변해가는 필터를 확인하면서 설치하기를 잘했구나 느끼게 됩니다. 이제는 세면대에도 녹물필터를 설치를 해야 하는데 그 동안은 앵글밸브에 연결을 해서 온수 냉수 필터를 한개씩 설치를 했는데 언제부터인지 필터 케이스가 금이가기 시작해서 물이 새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아무래도 수전 끝부분에 설치하는 제품으로 변경을 해야겠다 생각이 들어서 검색을 시작을 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필터가 너무 작거나 크기가 크면 세면대에 설치가 이상하게 될 것 같아서 좀더 검색에 검색을 하면서 알리까지 검색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알게된 정수용 녹물필터를 알게 되었습니다.

사진상으로 확인하기에는 필터 크기도 적당하고 겉에는 녹물 필터 그 안에는 정수용 여과기능이 들어있습니다. 물론 가격도 생각했던 것 보다는 저렴해서 우선 구매를 했습니다.

국내에서는 검색을 하다가 포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가격 비교는 제대로 하지 못하고 알리에서 쿠폰을 받아서 할인받아 10달러에 추가 필터 6개 포함해서 받기로 했습니다. 이제는 물건이 올때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10일 이내면 도착을 하니 조금 기다리다 보면 도착을 합니다.  녹물 필터에 정수 기능이 추가가 된다면 세면대에서 사용하는 물이라서 더 좋은 것 같습니다.  물건이 도착을 하고 국내에서도 검색이 된다면 추후 사용후기떄에 자세하게 올려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use 2023. 7. 18. 18:15
728x90
반응형

전기세를 절약하고 밝기도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led등입니다. led등도 점점 밝은 제품이 많이 나오지만 전기세를 생각한다면  15W에서 타협을 보려고 합니다. 한개를 설치하고 어두우면 두개 설치하려고 하는데 이렇게 설치를 해도 일반 형광등 36W 한개보다도 전기는 절약이고 형광등보다는 훨씬  밝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led등을 설치하고 뜻밖의 문제는 스위치를 끄고 나서도 생기는 잔광이 문제입니다.  보통은 잔광이 심하지 않은데 이번에 알리에서 구매한 led는 생각보다 심하게 밝습니다.

사진은 등을 켜고 찍은게 아니라 스위치를 끈 상태에서 저렇게 사진으로 찍힙니다. 이런 상황이면 밤에 수면등을 켜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잔광이 심한  상태로 설치는 못할것 같아서 잔광 제거기를 주문을 하고 잔광 제거 콘덴서와 함께 등을 같이 설치해야 합니다. 

 

잔광제거 콘데서를 받아서 확인하니 육안으로는 상태를 확인이 안됩니다. 가격은 천원대로 저렴합니다. 

설치를 해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 같아서 바로 설치를 했습니다. 설치는 led 등과 함께 설치를 해주면 된다고 해서 설치를 해봤습니다. 

 콘덴서를 설치를 하니 잔광이 사라졌습니다.  이제는 전체 방마다 led등을 설치를 해도 될 것 같습니다.  

방마다 기존의 형광등을 제거하고 led등으로 교체를 하면서 잔광 제거기를 설치를 해주니 스위치를  끄면 미세하게 밝은 현상이 전혀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use 2023. 7. 17. 11:34
728x90
반응형

주방에 등을 바꿀때 등을 고정해줄 지지대를 찾아야 등이 떨어지는 일을 없앨 수 있는데 찾지 못하게 되면 천정에 구멍난 내게 되고 석고보드에 아무리 구멍을 뚫어서 고정을 하려고 해도 등이 무겁거나 석고보드가 이미 약한 경우에는 등이 처지는 경우가 발생을 합니다. 그러면 지지대 상관없이 그냥 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주방등에 일반 led등이 달려 있는데 이보다 좀더 보기 좋은 레일들을 달려고 합니다.

모양도 별로고 이미 등이 공중에 떠 있습니다. 피스로 고정을 했는데도 소용이 없는 상태입니다.

워낙 등이 가벼워서 붙어 있었나 봅니다. 그런데 석고보드에서 지지대를 찾지 못하고 등을 달아 놓다 보면 이런경우가 생깁니다. 어짜피 등도 바꾸고 지지대 상관없이 인테리어상으로도 괜찮은 방법을 찾아서 레일등으로 주방등을 바꿔 보려고 합니다.

길이가 일자로 1M이기 떄문에 지지대를 찾아 부착을 하면 좋지만 전선 위치와 지지대가 맞지 않아도 고정하기가 쉽지 않아서 이럴때에 미송합판을 이용해서 전등을 달면 나름 괜찮습니다.

우선 미송합판 길이가 120cm에 폭이 9cm에 바니쉬를 한번 얇게 발라줍니다. 안발라줘도 되지만 그래도 나무 색이 고정되어 있도록 하려면 발라 주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이제 미송 합판을 전선의 위치와 레일등을 고정할 위치에 맞게 자리를 잡아서 표시를 해주고 글루건과 실리콘을 조금씩 7-8곳에 치약처럼 발라줍니다. 그리고 도배지 위에 고정을 시켜 줍니다. 처음에는 글루건으로 붙어 있는데 나중에 실리콘이 굳으면서 아주 튼튼하게 붙어 있습니다.

이런 상태로 반나절 정도 지나거나 아니면 하루정도만 지나면 잘 공정이 되어 있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 고정이 된것을 확인하고 레일을 피스로 고정을 해줍니다. 

레일에 전기선도 잘 연결을 해줘야 하는데 꼭 차단기는 내리고 해야 합니다. 차단기를 내리고 전선을 고정을 해주고 이제 전구를 연결을 해서 전등이 정상 작동을 하는지 확인을 해줍니다.

 

작동도 잘되고 나름 고정도 잘 되었습니다. 나무라서 크게 이질감 없이 인테리어적으로 괜찮습니다. 

레일등을 달고 싶을때 지지대는 못찾겠고 석고보드에 피스가 고정은 안될 때 이런 방법도 아주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use 2023. 7. 14. 18:01
728x90
반응형

언제부터인지 아니면 처음부터인지 요리할때 렌지후드를 틀어도 연기나 냄새가 빠지는 듯 한데 아닌것 같기도 하고 그렇게 몇년을 사용하면서 어느 순간부터 싱크대 상판에 기름떄가 자꾸 묻어는것이 이상해서 렌지 후드를 청소도 할 겸 해서 분해를 하기로 합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엄청난 렌지후드 같지만 분해는 생각보다 쉽습니다. 우선은 필터를 빼내봅니다. 아무래도 자주 청소를 하지 않았더니 기름떄가 마니 묻어 있습니다. 

필터는 아무래도 이번 기회에 교체를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후드 필터를 뺴내고 안쪽을 보면 세로로 통후드 뚜껑을 고정하는 나사가 한쪽에 두개씩 총 4개가 보이는 이것만 풀러줍니다.

나사를 4개를 모두 풀어주고 안쪽 팬 스위치 커넥터를 분리를 해내고 뚜껑을 살짝 제겨 들어주면 본체의 모습이 보입니다.

그런데 이럴 수가 있나 렌지후드 팬에 고정이 되어 있어야 할 호스가 반은 빠져 있었습니다. 어쩐지 그동안 렌지후드를 사용을 해도 왜 이렇게 냄새가 안 빠질까 했더니 이유가 여기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연결 호스가 짧아서 였는지 살짝만 걸쳐 놓은 것 같습니다. 이러니 사용하다보니 바람의 세기로 인해서 점점 사이가 벌어지면서 아예 반은 빠져 버렸나 봅니다. 이러다 보니 냄새도 잘 안빠지고 기름 연기가 실내에 다시 유입이 되어버려서 싱크대 상판에 자꾸만 기름때가 앉는느낌이 여기의 원인이 있었나 봅니다. 

 

그리고 후드 안을 살펴보니 이미 기름때들이 장난 아니게 끼어 있었습니다. 이건 시공때부터 잘못되어 있던것 같은데 처음 시공떄부터 후드를 뜯어 볼 생각을 안했을 거고 그러다 보니 지금까지 사용하면서 원인을 모르고 사용했던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렌지 후드의 경우 싱크대 문을 열어서 바로 확인이 되는 경우라서 이런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지만 통후드의 경우에는 바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서 따로 뜯어 보지 않으면 확인이 안됩니다. 아니면 후드 필터 빼내고 팬돌아가는 경우에 호스의 안쪽 모습이 제대로 보이는지 확인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렌지후드 전체를 뜯어서 청소를 하고 문제점도 바로 잡아 놓으니 안심이 됩니다. 렌지후드가 흡음을 잘 못하거나 뭔가 문제가 있는것 같다면 확인을 해보시기 바립니다.  그냥 사용하면 나중에 후드를 교체해야 하는 일이 생깁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use 2023. 7. 8. 22:39
728x90
반응형

화장실에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고 그러다 보니 자칫 관리를 잘못하면 누수가 되어서 골치아픈 상황이 생깁니다. 기본적으로 바닥에 방수를 해놓고 있지만 그래도 물이 재때에 제대로 빠지지 않으면 방수층이 깨지게 되어서 물이 새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물이 바로 배수가 잘되록 관리를 해야 하고 타일 사이의 줄눈이 떨어져나가거나 떨어진 상태가 없는지도 확인을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물이 빠져 나가는 유가 배수구 상태도 항상 확인을 잘 해야 합니다. 약간의 틈이라도 생기기 시작하면 그떄부터는 물이 배수구로 빠져 나가면서 틈새로도 물이 새들어가서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지금 화장실 유가와 타일 사이에 틈이 있다면 바로 수리를 하는 것이 누수를 막는 지름길입니다.

사진상의 유가는 이미 겉으로 보기에도 상태가 너무나도 심각한 상태입니다. 4군데가 모두 틈이 벌어져 있고 배수구 유가를 건들면 유격이 심하게 있다고 소리로 증명을 합니다. 

타일과 유가 사이에 있어야 할 줄눈도 이미 사라진 상태입니다. 이런 경우라면 그냥 물이 이 틈으로 그냥 새어 들어갑니다. 기본 방수층도 버티는데에는 한계가 있어서 빨리 수리를 해 줘야 합니다. 

유가와 타일 사이에 줄눈이 있는 곳에도 이미 줄눈이 떨어져서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틈새로 이물질도 끼어 있습니다. 그러면 이 상태에서 유가를 뜯어내면 그냥 들어내집니다. 원래는 백시멘트로 꽉 붙어져 있어야 하는데 이미 바닥에서 들떠 있는 상태입니다. 바닥을 들어내보니 이미 상태가 안 좋습니다. 바닥이 너무 축축한 상태입니다. 아직은 누수까지는 아니지만 더 두고 있었다면 누수로 이어질수 있는 상태입니다.

 

이제 물이 잘 빠지고 냄새도 차단해주는 유가를 준비하고 백시멘트로 마감을 해주면 됩니다. 그러면서 바닥 타일에서 줄 눈 사이가 좋지 않은 것들도 마감을 해주면 좋습니다. 유가는 알리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황동 유가입니다. 국내에서도 열심히 검색을 하니 재고로 물건을 싸게 구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유가는 사이즈가 기존의 유가보다는 작습니다. 그래서 마감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잘 해주면 됩니다. 

이상태로 완전히 굳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유가는 여러번 사용을 하면서 냄새와 물빠짐이 좋다는 걸 알고 있어서 믿고 설치를 하였습니다. 이제 뚜껑을 덮어 주면 됩니다.

지금부터는 유가주변의 줄눈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면서 누수가 없도록 잘 관리를 하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3. 7. 3. 17:32
728x90
반응형

알리에서 태양광으로 충전을 해서 사용하는 조명을 저렴하게 구매가 가능해서 이번기회에 한개를 더 구매를 했는데 이 제품은 태양광으로 충전과 리모컨으로 조명을 켜고 끌 수 있어서 구매를 했습니다. 

뒷면에 바로 태양광 패널이 부착이 되어 있고 리모컨을 작동시켜 보았는데 사용도 잘 됩니다. 그런데 충전을 시키려면 뒷면에 태양광 패널이 있어서 아무래도 열이 많이 받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기존의 구매한 제품 태양광과 조명이 분리되어 있는 제품을 분해를 해서 한가지 조명으로 결합을 시켜서 사용을 하고 기존의 태양광을 분리해서 다른 태양광과  합쳐서 충전용으로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이번에는 조명만 합쳐 보려고 합니다.

 

우선은 먼저 구매했던 조명에서 led 조명만 분리를 하고 기판은 그대로 둡니다.

분리한 조명과 리모컨 사용이 가능한 제품에서 태양광 패널만 분리를 해줘야 하는데 이건 그냥은 안되고 최대한 조심스럽게 멀티커터를 사용해서 플라스틱 뒷면을 분리를 해서 패널만 띠어 내주고 기존의 조명은 그대로 사용을 합니다.

그리고 분리했던 led 조명을 리모컨이 되는 보드에 그대로 선을 연결해주면 되는데 여기에서 조명이 두개가 동시에 연결이 되면 배터리가 약하면 조명이 어두워 질 수 있어서 큰 조명에 스위치를 하나 달아 주면 됩니다.

배터리도 기존의 큰 led에 있던 것을 분리해서 리모컨이 되는 조명에 연결을 해서 두개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충전이 되려면 아무래도 시간은 두배로 걸리겠지만 사용하는 시간도 늘어납니다. 그리고 기존의 태양광을 연결했던 곳도 충전잭을 꽂을 수 있도록 연결을 해주려고 합니다. 그러면 따로 배터리 충전과 태양광을 그대로 연결해서 충전도 가능합니다.

이제 두개의 조명을 글루건으로 고정을 시켜 줍니다. 그리고 좀더 마감이 필요로 하면 열을 분산할 수 있도록 얇은 방열판을 붙여 주면 좋은데 그러면 아무래도 무게만 증가되어서 그것은 추후에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조명을 두개를 작동을 시켜보니 확실히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서 출력이 달라집니다.  리모컨으로도 작동이 잘 됩니다.  이제는 태양광 패널을 연결해서 충전도 잘 되는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태양광 패널과 기존의 조명을 띠어낸 것에도 기존의 태양광 패널을 이용해서 충전용으로만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다음편에서 얼마나 잘 작동이 되는지 올려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hobby 2023. 6. 28. 17:37
728x90
반응형

야외에서 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실내에서 밤에 센서조명으로 사용해 보기 위해서 그리고 충전도 태양광으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알리에서 3달러에 태양광 센서 조명을 구매해서 받았습니다.  나름 구성은 잘 되어 있습니다. 

태양광을 이용해서 배터리를 충전을 하고 그 배터리로 조명을 켜서 사용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는데 생각보다 태양광 패널이 작습니다. 가격이 3달러이다보니 그러려니 하고 사용을 해야 할 것 같지만 그래도 구성이 어떨까 싶어서 분해를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등부터 분해를 해보면 간단하면서도 부속은 정상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등은 6구 led등인데 밝기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감지기로 어두울 때 작동이 됩니다. 그냥 감지기 떼어내고 사용하면 나름 밝게 사용 할 수 있을 정도로 밝습니다. 그리고 내부에는 태양광 패널을 연결하면 충전이 되어 질 수 있도록 18650 배터리 한개와 충전 컨트롤러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얼마나 배터리가 조명을 사용하는 용량을 지원해 줄지가  의문이 가지만 이만한 가격에 이정도의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그저 감사할 다름입니다. 조명이 오래가지 못하면 나중에 분해를 해서 태양광 패널에서 배터리 충전 용도로 사용을 해도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 충전 패널이 너무 작아서 하루종일 해가 좋을떄 충전량이 얼마나 나올지가 의문이 되지만 그래도 급할때나 야외에서 나름 쏠쏠하게 사용하면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 아니면 하나를 더 구매를 해서 태양광 패널만 추가로 연결해서 사용하면 그마나 충전이 잘 될 것 같습니다. 

 

태양광 패널도 분해를 해봤는데 패널은 그냥 패널에 전선만 딱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패널은 나중에 추가를 하지 않는한 분해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충전량을 테스터기로 확인을 하니 이전에 가지고 있던 태양광 패널 보다는 충전이 잘 되는 것 같습니다. 

 

3달러에 이런 태양광 조명이 가능하고 필요에 맞게 다르게 사용도 되니 아주 좋습니다. 조명만 사용한다고 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
tip&tip 2023. 6. 25. 17:19
728x90
반응형

와이파이용 초인종을 알리에서 저렴하게 구매해서 설치 하고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람인식과 알림도 잘되고 배터리 수명도 오래가고 화질도 좋고 필요할 때 따로 앱으로 열어 밖의 상황도 확인이 가능해 좋습니다.

 

지금 사용중인 와이파이용 초인종은 버전의 문제인지 아님 종류의 문제인지 다른 앱은 사용이 안되고 UBOX라는 앱을 통해서만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앱을 사용을 하면서 알림이나 기타의 기능을 사용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앱이 투야 앱이나 다른 앱처럼 다른 사람 폰에서 로그인을 해서 사용하려고 하면 사용을 할 수 가 없습니다. 다른 폰에서 로그인을 하면 내폰에서는 로그아웃이 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가족간이나 다른 사람과 같이 이 앱을 사용할 수 없어서 그것이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알아보던중에 이 앱에서 다른 사람과 카메라를 공유하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와이파이 초인종을 공유를 하려면 먼저 다른 사람이 UBOX를 설치하고 따로 자신의 이메일로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먼저 설치를 한 스마트폰에서 로그인이 되어 있는 상황에서 접속을 하면 내 스마트 기기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때에 화면 위쪽의 톱니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이 기본 설정 화면에서 공유 권한을 이용을 하면 됩니다. 이 화면에서 공유 권한을 눌러 접속을 하면 다음의 화면이 뜹니다.

지금 한명과 공유를 하고 있으면 한명이 뜨고 두명과 공유를 하고 있으면 숫자가 바뀝니다. 그리고 이 설정에서 공유한 공유자를 해제할 수도 있어서 편리합니다. 지금의 이 화면에서 그것을 공유를 누르게 되면 이 앱을 가입한 이메일을 등록하고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화면이 뜹니다. 

이제 가족이나 다른 사람이랑 와이파이 초인종을 같이 사용하고 싶다면 이미 가입한 UBOX 이메일 주소를 입력을 해주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됩니다. 이제 공유하려는 사람의 폰에 앱을 실행을 시켜보면 알림이 와 있고 확인후 기타 설정을 해주면 이제 와이파이 초인종을 같이 공유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족이 같이 사용하는 것이라면 내 집앞의 상황이나 택배나 기타 알림을 미리 확인하고 공유를 할 수 있습니다. 화질과 접속되어지는 속도도 괜찮아서 여러 용도로 사용도 가능해서 편리합니다. 그동안 앱을 혼자만 사용할 수 있는가 했는데 이렇게 카메라 공유를 통해서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면 여러모로 편리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엠커엄퍼니
: